용어집
Last updated
Last updated
: 가장 대표적인 광고 형식으로, 앱/웹의 레이아웃 일부를 차지하는 직사각형 광고
: 캐러셀은 앱/웹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자동으로 광고를 보여주는 요소.
: 롤링 배너를 가능하게 하는 요소로, 보통 한 광고당 3-4초의 시간을 부여.
: 캐러셀과 함께 사용하는 기능으로, 총 광고 수와 함께 해당 광고가 몇 번째 광고인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.
: 전면 광고란 앱/웹의 화면을 가리는 전체 화면 광고로, 일반적으로는 앱 유저의 사용이 잠시 멈추었을 때 (ex> 앱 접속 로딩 중, 게임 레벨 사이 등) 게시되는 광고 유형.
: 앱 유저에게 앱 내에서의 보상을 받게 하는 대신, 동영상 시청이나 광고 참여를 유도하는 광고 유형.
: 주로 모바일 게임에서 자주 활용하는 광고 유형으로 앱 개발자와 유저, 광고주 모두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광고.
: 앱 서비스 UI 와 동일한 UI를 가진 광고 유형.
: 앱 유저의 사용 경험을 해치지 않는 자연스러운 광고를 할 수 있다는 장점.
: 팝업 창 형태의 광고로 웹/앱에서 유저의 화면을 가리며 노출되는 광고 유형.
: 높은 가시성이 장점이지만, 남용할 경우 유저의 사용 경험을 해칠 수 있다는 단점.
: 웹/앱 내에서 자연스러운 화면 전환 지점에 나타나는 화면에 노출되는 광고 유형.
: 웹/앱 내의 로딩 화면에서 주로 등장해 자연스럽게 지면을 채울 수 있다는 장점.
: 인벤토리라고도 하며, 1개의 광고 영역에 롤링되어 노출되는 광고 갯수를 의미.
구좌수가 3개인 경우, 1개의 광고상품에 총 3개의 광고소재가 롤링되어 노출된다는 뜻.
참고자료:
참고자료:
참고자료:
참고자료: